▲삼성전자는 매년 올해의 강소기업을 선정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구를 먼저 생각하는 플래닛 퍼스트(PlanetFirst) 정신을 바탕으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9년부터 친환경 제품 등급제를 도입해 2013년 기준 친환경 제품 개발률 100%를 달성했는데요. 이 배경엔 ‘제품 전 과정 책임주의’가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의 모든 기사는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저작권과 초상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컨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지난 한 해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도 삼성전자는 229조 원이라는 사상 최대 매출과 이익을 창출했습니다. 총 매출 구성은 가전(CE) 20%, IT모바일(IM) 54%, 반도체 14%, 디스플레이(DP) 12%로 이뤄져 있는데요. 특히 가전 부문 중 TV는 2006년 이후 8년 연속 세계 시장에서 1위를 기록하며 명실상부 ‘TV=삼성전자’라는 공식을 입증했습니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자금 여력이 부족해 기술 개발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한 신기술 개발 공모제, 상생펀드 지원, 강소기업 육성, 산업혁신운동 3.0 등을 통해 건전한 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상호 성장할 수 있는 상생 전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란? 기업이 한 해 동안 경제·환경·사회 등 다방면에 걸쳐 진행해온 경영 활동과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매년 발간하는.. 삼성전자는 교육이 빈부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경제적 상황이나 여건과 관계없이 창의적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현재 중·저소득 국가의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현지 특색에 적합한 선진 교육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데요. △삼성 스마트 스쿨 △삼성 테크 인스티튜트 △삼성 케어 드라이브 △삼성 나눔 빌리지 등이 대표적 예입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란? 기업이 지난 한 해 동안 경제·환경·사회 등 다방면에서 펼친 경영 활동과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자 매년 발간합니다. 삼성전자는 기술과 아이디어만 있다면 어느 기업이든지 삼성전자와 거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꼽을 수 있는데요. 2013년도에는 1275건의 제안 검토와 기술 상담을 통해 잠재 협력사들에 거래 기회를 확대했습니다.
Video: [그래픽으로 보는 지속가능경영] ①글로벌 나눔 경
숫자로 보는 삼성전자 201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 Samsung
삼성전자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해 제품 전과정의 단계별 탄소 발생량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 발생이 가장 많은 제품 사용 단계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는데요. 2013년에는 각 제품군에서 획기적으로 연간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었습니다.
▲협력사 기술 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이윤표 박사와 함께 진행한 2014 우수 기술 설명회
지난 2010년 8월부터 ‘상생경영 7대 실천 방안’을 토대로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프로그램’을 개발, 추진했는데요. 지난해에는 1556개 협력사가 삼성전자와 협약을 맺으며 공유가치를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다.
지난 2011년엔 국내 최초로 장애인 공채 제도를 도입했는데요. 2013년 기준 장애 임직원 수 1529명을 포함, 국내외를 통틀어 28만6284명의 임직원이 근무 중입니다.
삼성전자 임직원들은 교육 기부의 일환으로 ‘꿈 멘토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진로 고민을 갖고 있는 중고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꿈 멘토링을 통해 삼성전자 내 다양한 직무를 소개하고 진로와 직업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죠. 혁신적인 제품과 차별화된 기술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R&D)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해왔습니다. 2013년에는 연구개발 비용만 해도 2010년 대비 57% 증가한 14.8조 원으로 확대하며 차세대 원천 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죠.
삼성전자는 협력사들이 경쟁력을 키워서 삼성전자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일찌감치 미래 기술의 중심 축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바뀔 거란 예상 아래 지난 2011년 ‘소프트웨어 주도 기업(Soft Driven Company): S/W 10년 대계’를 선언하며 소프트웨어 관련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3년 기준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인력은 4만 명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LED TV(55F8000) 61% △에어컨(AF18FVWDQWK) 62% △프린터(SL-M2875FW) 61% △모니터(S27A650D) 49%를 들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비뿐만 아니라 인력 육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연구개발 인력 중 박사급 인력은 5771명, 글로벌 연구개발 직원 수는 6만9000여 명입니다.
이 밖에도 2004년부터 미래경영자 양성 교육을 통해 협력사의 안정된 경영승계를 돕고 있는데요. 지난 10년간 233명의 차세대 CEO들이 삼성전자의 경영 노하우와 역량을 전수 받았습니다. 제품 개발부터 폐기까지 친환경성 평가를 의무화하고 ‘에코파트너’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단계별로 철저하게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죠. 2014년에는 미국 EPEAT, UL 등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환경마크 인증 절차를 추가 도입, 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친환경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나눔경영 비용은 △교육(46%) △고용과 커뮤니티(29%) △기타(16%) △의료(8%) △환경(1%) 부문에 쓰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전화 팩스, 윤리 경영 웹사이트 등을 통해 윤리경영 위반 사례 접수창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2011~2013) 총 1505건이 접수됐는데요. 그 중 소비자 민원이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정 관련 사항은 약 38%입니다. 사실을 확인할 수 없거나 삼성전자와 무관한 제보는 제외하고 해당 사실이 확인된 경우 사안의 경중을 가려 해직, 경고, 기타 방법으로 징계조치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삼성전자 임직원들은 전국 14개교 재학생 400여 명의 진로 문제 해결을 위해 두 팔을 걷어 붙였는데요. 멘토들은 미래를 이끌어가는 청소년들이 미래 사회의 창조적 주인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IT 업계 압도적 1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란? 기업이 지난 한 해 동안 경제·환경·사회 등 다방면에서 펼친 경영 활동과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자 매년 발간합니다
DBL을 담은 SK주식회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인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한다’ 삼성전자는 ‘기업 성장의 중심은 사람’이라고 믿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역량을 발휘하고 세계 최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이 목표죠.
1969년 설립된 삼성전자는 이윤 추구라는 기업 본연의 목적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삼성전자가 세상과 더불어 성장하기 위해 노력해 온 지난 한 해의 결과들을 201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내 6개 주요 카테고리를 통해 살펴보려 합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담당자 인터뷰
하나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하나금융그룹] 2017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 발간
[휴넷CEO]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으로서의 CSV|최낙삼|미니강의|평생학습 파트너, 휴넷
현대엔지니어링, 2017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CSV세미나] 1.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가치란 - (I) 사회적가치의 재구성
지속가능경영을 넘어 지속성장경영으로(From Sustainable Management to Sustainable Development)